Horizon Europe 컨소시엄 성공 전략 🤝

Horizon Europe 컨소시엄 성공 전략 🤝

2025. 3. 28.

Horizon Europe 컨소시움 완전 정복

유럽 연합의 대표 연구 펀딩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유럽(Horizon Europe)에 참여하고 싶다면 꼭 알아야 할 것이 하나 있습니다.

바로 "컨소시움(Consortium)"입니다.

초심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컨소시움의 개념과 구성 방법, 참여자 역할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!


✅ 컨소시움이란?

컨소시움은 공동 연구 수행을 위한 다국적 협력체입니다.

즉, 하나의 과제를 함께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국가의 기관들이 팀을 구성하는 것입니다.

🧩 예시: 한국의 대학 + 독일의 연구소 + 프랑스의 기업이 함께 하나의 프로젝트를 수행!

🔸 기본 구성 요건

  • 최소 3개 기관 이상, 각각 다른 EU 회원국 또는 준회원국이 포함되어있어야 함.

  • 일부 과제(Call)에서는 예외 적용 가능 (공고문에서 확인 필요)

🔸 관련 문서

  • Grant Agreement (GA): EU와 전체 컨소시움 파트너 간 체결

  • Consortium Agreement (CA): 컨소시움 참여 기관 간 권리/의무 및 IP 등 내부 운영규칙을 규정

🔸 기타 유의사항

  • 컨소시움 구성은 제안서 준비 단계에서 필수 작업이며, 각 기관은 PIC 등록, LEAR 지정 등을 완료해야 함


✅ 컨소시움 구성원 역할

컨소시움은 단순한 커뮤니티가 아닙니다. 각 기관은 명확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, 아래와 같이 나뉩니다:

🥇 Coordinator (총괄기관)

  • 주요 권리

    • 컨소시움을 대표하여 EU와 계약 체결

    • 프로젝트 운영 전반 통제

  • 의무 및 책임

    • 모든 보고서(과제 진행·재정 보고 포함) 제출 책임

    • 예산의 분배 책임자 (타기관 지급은 Coordinator가 관리)

    • 컨소시움 간 분쟁 조정, 계약 변경(Amendment) 주도

  • 보고 책임

    • 전체 Periodic Report 제출 (기술+재정 통합)

    • Continuous Reporting 포털 상시 업데이트

    • 모든 Beneficiary 자료 취합 및 전달

  • 예산 분배

    • EU에서 지급된 보조금을 각 Beneficiary에게 지연 없이 배분

    • 자체 예산은 Coordinator의 역할 크기와 책임을 반영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배정됨

🧩 Beneficiaries (수혜기관)

  • 주요 권리

    • 직접 EU 자금 수령

    • 결과물(Results)에 대한 IP 권리 소유

  • 의무 및 책임

    • 제안서 상의 역할(WP/Task) 수행

    • 생성한 결과물을 보고하고 IP 관리 의무

    • 연구 윤리, 개인정보보호 등 법적 기준 준수

  • 보고 책임

    • 개별 기술 보고서 및 비용 정산서(Financial Statement) 작성

    • Coordinator에게 보고자료 제공

  • 예산 분배

    • 제안서(B Part)에서 명시된 WP 기여도와 인건비 기준으로 산정

    • 실제 지출 기반(actual cost) 또는 보조금(lump sum) 방식 중 과제 유형에 따라 다름

🤝 Associated Partners (연계 파트너)

  • 주요 권리

    • 과제 결과에 일부 접근 가능

    • 간접적인 국제 협력 기회 확보

  • 의무 및 책임

    • 과제에 기여는 하지만 EU 자금 수혜는 없음

    • Grant Agreement 미체결 → 자체 기금 필요

  • 보고 책임

    • 활동 내역만 기술적으로 보고 가능 (재정 보고 없음)

  • 예산 분배

    • 없음 (자체 예산 확보 필요. 예: 과기부 한-EU 공동연구사업 / 산업부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)

🛠 Subcontractors (위탁기관)

  • 특정 기술 혹은 서비스 위탁 수행

  • 과제 공식 참여자는 아님


✅ 컨소시움 구성 전략

성공적인 제안서를 위해서는 전략적으로 컨소시움을 구성해야 합니다.

1. 명확한 목적과 역할 분담

  • 제안서의 Work Package에 맞춰 각 기관의 강점을 반영

  • “이 파트는 누가 잘할 수 있을까?”를 기준으로 선택

2. 신뢰할 수 있는 기관과의 협력

  • 과거 유럽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기관 우선 고려

  • 파트너 매칭 업체 또는 NCP(Network Contact Point) 통해 파트너 탐색 가능

3. Coordinator 선택 신중히!

  • 경험이 많은 기관이 맡는 것이 안정적

  • 코디네이터는 리스크도 크지만, 과제 운영의 주도권을 가짐

4. 예산 협상과 책임 공유

  • 역할 크기와 기여도에 따라 예산 배분

  • 참여 기관 모두 재정·성과 보고 책임이 있음

호라이즌 유럽은 유럽 내 연구 협력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임팩트를 창출하는 프로젝트입니다.

그 첫걸음은 바로 탄탄한 컨소시움 구성에서 시작됩니다.

본격적으로 제안서 작성을 계획하고 있다면, 지금부터 파트너 탐색과 전략 수립을 시작해보세요!


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신가요?

(주)윤아이디어랩에서는 다년간의 호라이즌 2020, 호라이즌 유럽 과제 참여를 통하여 축적해 온 전문적인 지식들과 최신 인공지능 도구들을 결합하여 심도 있는 교육 및 컨설팅, 제안서 작성 지원 그리고 과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관심 있는 과제 공고의 탐색, 컨소시엄 구성, 제안서 작성 및 신청 절차에 대한 전문적이고 깊이 있는 컨설팅이 필요하다면, 문의해주세요!

👉 Contact us